상식이 좋아요

춘추전국시대 총정리 5부 – 진나라 VS 진나라 본문

중국역사

춘추전국시대 총정리 5부 – 진나라 VS 진나라

조니얀 2025. 4. 11. 20:06

춘추전국시대 총정리 5부 – 진나라 VS 진나라


1장. 제나라 붕괴와 송 양공의 등장

제환공의 죽음 이후 제나라는 간신 수조와 여가가 왕위를 조작해 무게를 옹립했다. 이에 반발한 태자 소는 송나라 양공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스스로 은나라 왕족의 후손이라 자부하던 송 양공은 제나라의 혼란을 자신의 패자 등극을 위한 기회로 보고, 군사를 이끌고 제나라를 공격한다. 수조와 여가가 제거되고 소가 왕위에 오르며 혼란은 진정됐지만, 송 양공의 야심은 멈추지 않았다.


2장. 송 양공의 야망과 몰락

송 양공은 패자가 되겠다며 회맹을 열고, 심지어 약소국 군주를 잡아 인신공양 제물로 바친다. 그러나 초나라 성왕은 송 양공을 사로잡고 수치심을 안긴 채 풀어준다. 자존심을 회복하려던 송 양공은 초나라 동맹국 정나라를 공격하다 초나라 군과 홍수 전투에서 정면충돌하게 되고, 예를 이유로 전투 기회를 포기한 채 대패하고 만다. 이 패배 이후 그는 '명분만 내세우다 패한 어리석은 군주'라는 뜻의 **송양지인(宋襄之仁)**으로 불리게 된다.


3장. 패권의 공백과 북진의 부상

제나라도, 송나라도 몰락한 가운데 중원의 패권은 공백 상태가 된다. 서진은 멀고 초나라는 아직 미덥지 않았던 상황에서, 급부상한 강국이 있었으니 바로 북쪽의 진나라였다. 진 무공이 내란을 정리하고 통일한 북진은 아들 진 헌공 대에 이르러 강국으로 도약한다.


4장. 진 헌공과 여희의 음모

진 헌공은 의심 많고 잔인한 군주였다. 그는 후궁 여희의 아들 해제를 태자로 삼으려 하고, 원래 태자였던 신생을 외지 전장에 보낸다. 여희는 독살 음모로 신생을 몰아세우고, 결국 신생은 아버지를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이로 인해 동생들 중이와 이오도 도망쳐야 했고, 진나라 후계 구도는 혼돈에 빠진다.


5장. 망명한 왕자들, 중이와 이오

신생이 자결하자 중이와 이오는 각기 정나라와 양나라로 망명한다. 그러나 진 헌공이 죽자, 대부 이극이 여희와 해제를 살해하고 새로운 군주를 찾아 나선다. 처음엔 중이에게 군주 자리를 권했지만, 중이는 거절하고 결국 이오가 진 혜공으로 즉위하게 된다.


6장. 진 혜공의 배신과 서진의 분노

진 혜공은 자신을 군주로 만든 이극을 제거하고, 서진의 목공과 맺은 약속도 배신한다. 서진은 이오를 지원한 대가로 성읍 다섯 곳을 요구했으나, 진 혜공은 이를 거절한다. 목공은 참고 넘어가지만, 북진이 가뭄에 식량을 요청했을 때 자신은 지원했는데, 훗날 서진이 가뭄에 시달리자 진 혜공은 외면한다.


7장. 서진 목공의 진나라 침공

배신과 불의에 분노한 서진 목공은 군을 이끌고 진나라를 침공한다. 북진은 두 개의 강력한 군대를 갖춘 강국이었지만, 서진은 명분과 사기에서 우위에 있었다. 더욱이 북진 내부에서는 혜공의 실정과 의심으로 인해 분열이 생기고, 진영 내에서도 지휘관들이 혜공에게 신뢰를 잃고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


8장. 대결의 서막 – 한원 전투

진 혜공은 서진의 대군에 맞서 싸움을 결심하고, 한원 전투가 시작된다. 신하 경정은 “자초하신 일”이라며 냉소했고, 또 다른 신하 한간은 “우리는 의롭지 않지만, 저들은 분노로 싸운다”며 패배를 예감한다. 싸움의 승패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이 전투는 중원 패권의 향방을 가를 중요한 분수령이 된다.


해시태그 (30개)

#춘추전국시대 #진나라VS진나라 #북진 #서진 #진헌공 #여희 #신생 #중이 #이오 #진혜공 #진목공 #송양공 #송양지인 #한원전투 #춘추패자 #춘추오패 #진문공 #중국역사 #춘추시대 #관중지역 #패권경쟁 #인신공양 #배신정치 #정나라 #제나라혼란 #후계자다툼 #가문분열 #춘추강국 #춘추열전 #춘추블로그